배포/배포 이론

DNS / Load Balancer

nickmorohe 2022. 12. 18. 14:39

1.  DNS

(1) DNS(Domain Name System) : 웹에서 도메인을 정리하고 확인하는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

(2) 'www.google.com'과 같은 웹 주소는 DNS를 통해 '74.125.19.147'과 같이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컴퓨터의 실제 IP 주소로 변환

 

 

2.  DNS Record

 

(1) 도메인에 관한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문자들

 

(2) MX 레코드

  • 메일 교환 레코드로 이메일을 도메인의 사용자 계정을 호스팅하는 서버로 전송
  • 한 도메인 내에서 우선순위를 달리하여 여러 MX레코드를 정의할 수 있음
  • 우선순위대로 레코드가 사용됨

(3) TXT 레코드

  • 도메인 외부 소스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DNS 레코드
  • 도메인 소유권을 인증하고 SPF, DKIM, DMARC 같은 이메일 보안 조치를 구현하는데 사용

(4) CNAME 레코드

  • 다른 실제 또는 정식 도메인 이름에 별칭 이름을 연결
  • 웹사이트의 주소를 맞춤설정하는 데 사용

(5) A 레코드

  • 주소 레코드(호스트 레코드)
  • 도메인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컴퓨터의 실제 IP 주소에 도메인을 연결

(6) NS 레코드

  • 도메인에 대해 어떤 서버가 DNS 정보를 전달할지 결정

(7) TTL (수명)

  • 다음 레코드 변경사항이 적용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초)를 결정하는 DNS 레코드 값
  • MX, CNAME 레코드 등 도메인의 각 DNS 레코드에는 TTL 값이 포함됨
  • 변경사항이 적용되는 시간에 영향을 줌
  • 인터넷상의 서버가 레코드의 업데이트 사항을 매시간 확인하도록 3600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음

(8)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 리소스의 웹 주소
  •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주소

 

3.  Load Balancer(로드밸런서)

 

(1) 유저의 접속량이 늘어날수록 백엔드 서버 컴퓨터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백엔드 서버 컴퓨터를 하나로 묶어줄 인스턴스를 그룹을 생성

 

(2) 이때 DNS를 통해 A레코드로 바뀐 채, 백엔드 서버 컴퓨터로 접속하게 되는데 백엔드 서버 컴퓨터 중 특정 컴퓨터에만 바뀐 A레코드가 적용될 수 있음

 

(3) Load Balancer

  •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장치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서버의 트래픽을 관리

(4) DNS와 백엔드 서버 컴퓨터 가운데 Load Balancer를 두고 DNS A레코드에는 로드밸런서의 IP주소를 연결시켜주고 Load Balancer를  백엔드 서버 컴퓨터와 연결시켜서 부하를 분산

 

 

참고

https://support.google.com/a/answer/48090?hl=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