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kmorohe 2024. 4. 12. 20:09

1. 인덱스(Index)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키 값, 포인터> 쌍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구조

 

2. 인덱스의 종류

(1) 트리 기반 인덱스 : 인덱스를 저장하는 블록들이 트리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

(2) 비트맵 인덱스 : 인덱스 컬럼의 데이터를 Bit 값인 0 또는 1로 변환하여 인덱스 키로 사용하는 방법

(3) 함수 기반 인덱스 : 컬럼의 값 대신 컬럼에 특정 함수나 수식을 적용하여 산출된 값을 사용하는 것

(4) 비트맵 조인 인덱스 : 다수의 조인된 객체로 구성된 인덱스

(5) 도메인 인덱스 : 개발자가 필요한 인덱스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

 

3. 클러스터드 / 넌클러스터드 인덱스 

(1) 클러스터드 인덱스(Clustered Index)

- 인덱스의 키 순서에 따라 데이터가 정렬되어 저장되는 방식

- 실제 데이터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어 인덱스를 검색하지 않아도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음

 

(2) 넌클러스터드 인덱스(Non-Clustered Index)

- 인덱스의 키 값만 정렬되어 있고 실제 데이터는 정렬되지 않는 방식

- 데이터 삽입, 삭제 발생 시 순서 유지를 위한 데이터 재정렬이 필요 없어 속도가 빠름

 

출처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 기본서 / 저자 : 길벗알앤디(김정준,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 출판사 : 길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