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NestJS

브라우저 저장소(Web Storage), Cookie

1. Web Storage

(1) HTML5부터 제공하는 기능으로 , 특정 데이터를 서버가 아니라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저장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

(2)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 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조회

(3) 사이트의 도메인 단위로 접근이 제한

 

2. Web Storage Type

(1) LocalStorage

  • 브라우저를 닫았다가 다시 열어도 계속 유지
  • 저장한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지우지 않는 이상 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
  • 도메인마다 별로도 LocalStorage가 생성
  • 도메인만 같으면 전역으로 공유가 가능
  • Windows 전역 객체의 LocalStorage라는 컬렉션을 통해 저장과 조회 됨

(2) SessionStorage

  • 브라우저가 열려있는 한 페이지를 Reload 해도 계속 유지
  • 하지만 브라우저를 닫으면 삭제
  • Windows 전역 객체의 SessionStorage라는 컬렉션을 통해 저장과 조회 가능
  • 데이터의 지속성과 액세스 범위에 특수한 제한이 존재
  • Web Storage의 기본 보안처럼 도메인별로 별도로 생성
  • 같은 사이트의 같은 도메인이라도 브라우저가 다르면 서로 다른 영역이 됨 =>  브라우저 컨텍스트(브라우저가 불러온 웹페이지)가 다르기 때문

3. 브라우저 저장소의 미래

(1) 서버 전송이 X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존재하고 서버로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음 => 네트워크 트래픽 비용 감소

(2) 객체 정보 저장 가능

(3) 용량의 제한이 없음

(4) 영구 데이터 저장이 가능 => 만료기간이 없음

 

4. Web Storage 장점

(1) 4KB 데이터 저장 제한 보완

(2) HTTP Request에 암호화 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점 보완

(3) 쿠키는 모든 HTTP Request에 포함되어 있어 웹 서비스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있는 점을 브라우저 저장소를 이용함으로 보완

 

 

5. Cookie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2)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음

(3)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

(4) 클라이언트에 300개 쿠키,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 가능

(5)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음

(6)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 시 Request Header를 넣어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

(7) 백엔드에서도 내용 조회 가능

 

6. Cookie 의 구성

(1) 이름 : 쿠키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이름

(2) 값: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

(3) 유효시간 : 쿠키의 유지시간

(4) httpOnly, secure:  쿠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보안 강화 기능

(5) 도메인: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

(6) 경로: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7. Cookie Flow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 요청

(2)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3)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시켜 응답

(4)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쿠키 만료 기간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서 보관

(5)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냄

(6)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을 때 쿠키를 업데이트하여 변경된 쿠키를 HTTP 헤더에 포함시켜 응답

 

 

 

8. Web Storage vs Cookie

(1) 쿠키는 매번 서버로 전송

웹사이트에서 쿠키를 설정하면 이후 모든 웹 요청은 쿠키 정보를 포함해 서버로 전송됩니다. Web Storage는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존재할 뿐 서버로 전송되지는 않는다.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 비용을 줄여줍니다.

 

(2) Web Storage는 단순 문자열을 넘어(스크립트) 객체정보를 저장 가능

문자열 기반 데이터 외에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객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 편의성을 제공해주는 장점입니다.(단, 브라우저의 지원 여부를 확인해봐야 합니다)

 

(3) Web Storage는 용량의 제한이 없음

쿠키는 개수와 용량에 제한이 있습니다. 클라리언트에 최대 300개의 쿠키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의 사이트(도메인)에서는 최대 20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나의 쿠키값은 최대 4KB로 제한되어 있습다.

 

그러나 Web Storage에는 제한이 없습다. 쿠키도 하위키를 이용하면 이러한 제한을 일부 해소할 수는 있으나, 대용량으로 쿠키를 저장할 일은 없습니다.

 

(4) Web Storage는 영구 데이터 저장이 가능

쿠키는 만료일자를 지정하게 되어있어 언젠가 제거 됩니다. 만약 만료일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세션쿠키가 됩니다. 만일 영구 쿠키를 원한다면 만료일자를 굉장히 멀게 설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Web Storage는 만료기간의 설정이 없습니다. 즉, 한 번 저장한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Javascript > Nes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 (단방향, 양방향)  (0) 2022.12.05
Login Process  (0) 2022.12.05
JWT(JSON Web Token)  (0) 2022.12.05
DB Schema / ERD  (0) 2022.11.20
TypeORM  (0) 202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