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실기/통합 구현

연계 매커니즘

1. 연계 매커니즘

 

(1) 데이터 생성 및 전송 담당하는 송신 시스템과 데이터 수신 및 운영 DB 반영을 담당하는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

(2)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모니터링하는 중계 시스템을 설치 할 수 있음

 

* 연계 매커니즘 연계 방식

- 직접 연계 방식 : 중간 매개체 없이 송·수신 시스템이 직접 연계하는 방식(DB Link, API/Open API, DB Connection, JDBC 등)

- 간접 연계 방식 : 송·수신 시스템 사이 중간 매개체를 두어 연계하는 방식(연계 솔루션, ESB, 소켓, 웹 서비스 등)

 

2. 연계 매커니즘의 과정

 

(1) 송신 시스템 및 송신 모듈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 연계 서버 또는 송신 어댑터  -> 전송

 

(2) 수신 시스테 및 수신 모듈

 

-> 연계 서버 또는 수신 어댑터 ->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운영 DB에 연계 데이터 반영

 

* 모든 단계 사이에는 로그를 기록한다.

* 로그 : 사용자가 컴퓨터에 요청한 명령이나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 및 결과 등을 기록으로 남긴 것

 

3. 연계 매커니즘의 구성

(1)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2)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를 수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로 매핑 및 변환하는 과정

(3)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4) 로그 기록 : 모든 과정에 관한 결과 및 오류에 대한 정보를 로그 테이블이나 파일에 기록하는 과정

(5) 연계 서버 : 데이터를 전송 형식에 맞게 변환하고 송수신을 수행하는 등 송수신 관련 모든 처리 수행

(6) 송신 어댑터 : 전송 형식에 맞도록 변환 및 송신 수행

(7) 수신 어댑터 : 수신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테이블이나 파일로 생성

(8) 전송 : 연계 데이터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 후 수신 시스템으로 보냄

(9) 운영 DB에 연계 데이터 반영

 

4. 연계 장애 및 오류 처리

 

구간 오류 발생 시점
송신 시스템 데이터 생성 및 추출 시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시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등록 시
수신 시스템 연계 데이터 로드 시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시
운영 DB에 반영 시
연계 시스템 연계 데이터 로드 및 전송 형식으로 변환 시
연계 데이터 송수신 시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 및 로드 시

 

 

5. 연계 테스트

연계 시스템과 연계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활동

 

연계 테스트 케이스 작성 ->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 연계 테스트 수행 -> 연계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

 

 

출처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 기본서 / 저자 : 길벗알앤디(김정준,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 출판사 : 길벗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XML  (0) 2024.04.16
연계 데이터 보안  (0) 2024.04.16
통합 구현  (0) 202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