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진 트리
(1) 차수가 2 이하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
(2) 이진 트리의 레벨 i에서 최대 노드의 수는 2i-1
(3) 이진 트리에서 Terminal Node 수가 n0, 차수가 2인 노드 수가 n2라 할 때 n0 = n2 + 1
2. 트리 운행법
(1)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들을 찾아가는 방법
(2) 트리 운행법 종류
- Preorder 운행 : Root-Left-Right
- Inorder 운행 : Left-Root-Right
- Postorder 운행 : Left-Right-Root
3. 수식의 표기법
(1) 전위 표기법(PreFix) : 연산자-Left-Right
(2) 중위 표기법(InFix) : Left-연산자-Right
(3) 후위 표기법(PostFix) : Left-Right-연산자
출처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 기본서 / 저자 : 길벗알앤디(김정준,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 출판사 : 길벗
'정보처리기사 실기 > 데이터 입출력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렬(Sort) (0) | 2024.04.16 |
---|---|
트리 (0) | 2024.04.16 |
자료 구조 (0) | 2024.04.15 |
논리 데이터 모델의 변환 (0) | 2024.04.15 |
스토리지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