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실기/데이터 입출력 구현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서버 클러스터링

1. 데이터베이스 이중화(Database Replication)

동일한 데이터 베이스를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

 

*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분류

- Eager 기법 

트랜잭션 수행 중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이중화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전달하여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되도록 하는 기법

- Lazy 기법

트랜잭션의 수행이 종료되면 변경 사실을 새로운 트랜잭션에 작성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기법, 데이터베이스 마다 각각 새로운 트랜잭션이 수행되는 것으로 간주

 

*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구성 방법

- 활동-대기 방법(Active-Standby)

한 DB가 활성 상태로 서비스하고 있으면 다른 DB는 대기하고 있다가 활성 DB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DB가 자동으로 모든 서비스를 대신 수행함

- 활동-활동 방법(Active-Active)

두 개의 DB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둘 중 한쪽 DB에 문제가 발생하면 나머지 다른 DB가 서비스를 제공함

처리율이 높지만 구성방법 및 설정이 복잡

 

2. 클러스터링(Clustering)

두 대 이상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운영하는 기술

 

* 클러스터링 종류

- 고가용성 클러스터링

하나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노드(서버)가 받아 처리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는 방식, 일반적인 클러스터링

- 병렬 처리 클러스터링

전체 처리율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작업을 여러 개의 서버에서 분산하여 처리하는 방식

 

3. RTO/RPO

(1) RTO(Recovery Time Objective, 목표 복구 시간)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부터 복구되어 가동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의미

(2) RPO(Recovery Point Objective, 목표 복구 시점)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부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을 의미

 

 

 

출처 :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 기본서 / 저자 : 길벗알앤디(김정준,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 출판사 : 길벗

 

'정보처리기사 실기 > 데이터 입출력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백업  (0) 2024.04.15
데이터베이스 보안  (0) 2024.04.15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1) 2024.04.12
파티션  (0) 2024.04.12
뷰 / 클러스터  (0) 2024.04.12